우리나라의 많은 소프트웨어 회사들은 주먹구구식 개발에 대한 환상이 있다.
특히, 첫번째 시스템을 주먹구구식으로 개발을 해서 성공했는데 지금은 좀더 체계를 갖췄는데 더 개발이 잘 안된다면 과거 진짜 주먹구구식으로 개발할 때를 그리워하고 그 때로 돌아가고 싶어 한다.
여기 이와 관련된 과거 글이 있다.
2012/07/26 – [소프트웨어이야기] – 옛날에는 개발을 더 잘했는데
주먹구구식으로 개발을 하다가 현재 체계를 갖추려고 노력하고 있다면 아직은 불완전할 뿐더러 반쯤은 주먹구구인 것이다. 그럼 주먹구구식 개발은 어떤 것인지 정의를 내려보자. 크게 5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스펙/설계 없이 개발을 하는 것이다. 또는 기능명세서, 시방서 등의 문서에 기능만 정리하여 개발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프로젝트 전체 범위를 알 수 없을 뿐더러 좋은 아키텍처를 만들 수도 없고, 개발자들이 효과적으로 일을 나눠서 개발할 수도 없으며 프로젝트 진척상황을 거의 파악할 수 없다. 일정 지연은 일상이고 그야말로 끝나봐야 아는 것이다.
둘째, SVN, Git 등의 소스코드관리시스템과 Jira, Mantis, Redmine 등의 이슈관리시스템 없이 개발하는 것이다. 둘중 하나라도 사용하지 않으면 심각한 문제이다. 일단 쓰기만 하더라도 다행이지만 제대로 쓰는 것은 정말 어렵다. 대부분은 10% 정도의 기능밖에 사용하지 못하지만, 100% 기능을 활용해야 한다.
셋째, 혼자 북치고 장구치고 다하는 것이다. 일을 전문적으로 나눠서 하는 것이 아니고, 혼자서 기획, 분석, 설계, 코딩, 테스트, 빌드 등등 다 하는 것이고 이런 개발자가 여럿이고 서로 중복되서 일을 하기도 한다. 첫째에서도 언급했듯이 스펙이 제대로 작성되어야 일을 효과적으로 나눌 수 있는데 스펙이 없거나 부실하면 이런 현상이 벌어진다. 또, 회사의 조직이 소프트웨어 개발에 알맞게 효과적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이런 일이 벌어진다. 소프트웨어는 전문가들이 협업하여 개발하는 것이다.
넷째, 프로세스 없이 대충 개발하는 것이다. 흔히들 프로세스는 개발을 더 느리게 만든다고 주장하곤 한다. 그러면서 회사에서 프로세스를 만들려고 하면 반대 주장을 펼친다. 과거에 개발하던 방법을 서로 암묵적으로 알고 있다가 대충 개발을 하고 서로 이심전심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
다섯째, 리뷰, 공유 없이 개발하는 것이다. 가끔은 대충 기능목록 작성해서 마케팅이나 영업, 경영진과 리뷰를 하기도 하지만 제대로 된 리뷰는 아니다. 개발자를 제외하고는 지금 어떤 제품을 만드는지 정확하게 파악이 안된다. 심지어는 개발자들도 잘 모른다. 다 만들어봐야 어떤 제품을 만들었는지 알게 된다. 그러니 만들기 전에는 무슨 문제가 발생할지 몰라서 만드는 도중에 수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재작업은 수시로 이루어 진다. 심지어는 80%쯤 만들었다가 아키텍처가 잘못된 것을 발견하고 다 버리고 다시 만들기도 한다.
정도의 차이는 있을 수 있다. 다섯가지 중에서 하나 이상이면 아직 주먹구구식 개발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이 아니다. 스스로도 주먹구구식으로 개발을 하고 있는지 평가를 해보자.
2008/10/29 – [소프트웨어이야기] – 소프트웨어 회사의 개발 역량 평가표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먹구구식 개발이 여전히 통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첫째, Software의 크기가 아주 작다.
빌딩은 제대로 된 분석/설계 없이, 프로세스 없이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개집은 그런 것 필요 없다. 대충 만들어도 문제 없이 만들 수 있다. 한 사람이 머리 속으로 모든 것을 설계해서 만들 수 있는 정도의 규모라면 주먹구구식 방법도 훌륭한 방법이다.
둘째, 이직률이 극도로 낮다.
한번 개발을 해 놓으면 개발자들이 절대로 퇴사를 하지 않고 끝까지 책임져준다.
셋째, 회사 규모가 작다.
개발자도 몇 명 안되서 서로 너무 잘 알고 모든 이슈가 더 구두로도 공유가 되고 급한 이슈는 자리에서 바로 일어나서 공유가 되고 논의할 수 있다. 가족적인 분위기에서 주먹구구식 방법이 훌륭하게 작동한다.
넷째,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가 없다.
한번 개발해 놓은 시스템이 업그레이드가 필요 없는 경우이다. 어떻게 든 첫번째 개발을 해 놓으면 문제가 없다.
그럼, 주먹구구식 개발이 앞으로도 계속 통할까?
회사가 잘되면 회사는 커지게 되어 있다. 개발자 수는 많이 늘게 되고 더 이상 자리에서 일어나 뒤로 돌아도 모든 개발자의 얼굴을 볼 수 없게 된다. 과거처럼 공유가 그렇게 잘 되지 않는다.
개발자들이 영원히 이직하지 않고 직원으로 있기를 바란다면 너무 큰 욕심이다. 개발자들은 언젠가는 이직을 하게 마련이고, 개발자들이 이직을 해도 개발은 잘 돌아가도록 되어 있어야 한다. 주먹구구식으로 계속 개발을 하게 된다면 아무리 가족적인 분위기라고 하더라도 직원이 Risk 요인이 된다.
Software 회사의 경영자라면 지금 대충 잘 굴러가는 것 같다고 해서 방심하면 안된다. 회사가 잘 되면 회사는 커지고 직원도 늘고 더 복잡해질 것이다. 문제를 모르고 방심하다가 문제가 터지고 나면 터진 댐을 막으려고 하는 것처럼 어렵다. 항상 미리 준비를 해야 하는 것이다.
물론, 처음부터 제대로 하는 것이 가장 빨리 개발하는 방법이고 좋지만 그것을 깨닫기는 매우 어렵다. 대부분은 문제가 터진 후에 우왕좌왕 한다. 주먹구구식 개발이 지금은 통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곧 주먹구구식 개발이 문제가 되는 상황이 올 것이고 이미 문제가 되고 있다면 너무 늦지 않았기만 바랄 뿐이다.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른 때이다.
댓글을 남겨주세요
You must be logged in to post a comment.